티스토리 뷰
* MT
- Multi Thread
- CRT 라이브러리를 정적 라이브러리로 링크하는 것
- CRT 라이브러리를 실행파일(EXE, DLL)에 포함시키겠다는 의미로 생각하면된다.
- 실행파일에 CRT라이브러리를 넣기 때문에 파일 사이즈가 커진다.
- MT는 모든 실행파일(DLL, EXE)에 각각의 파일들이 사용하는 힙메모리가 생성된다 ( n개의 DLL파일에 n개의 독립적인 CRT 힙메모리)
* MD
- Multi Thread DLL
- CRT 라이브러리를 DLL로 제공하겠다는 것
- MT에 비해 파일 사이즈가 작음
- CRT DLL이 없는 환경에서는 사용 불가
- MD는 모든 실행파일(DLL, EXE) 이 사용하는 하나의 힙메모리가 생성된다 ( n개의 DLL파일에 1개의 공통 CRT 힙메모리)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ppusarida&logNo=40167344277
'programming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++] Universal CRT (ucrtbase.dll)와 오류 (0) | 2017.02.15 |
---|---|
[c++] visual studio remote debug (0) | 2017.02.02 |
[c++] 접근 제어 지시자 (0) | 2016.05.18 |
[c++] new 와 delete (0) | 2016.05.18 |
[c++] 함수 오버로딩 (0) | 2016.05.1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Node.js
- executable jar
- App Transport Security
- TypedArray
- 비대칭키
- 윈도우 라이브러리
- JavaScript
- MEAN stack
- 암호화
- iOS10
- reactivex
- 대칭키
- AES
- Universal CRT
- cipher
- build set
- TLS1.2
- execute double click
- node js
- rxswift
- remote debug
- full stack
- ucrtbase.dll
- HTTPS
- angular
- PCX
- ATS
- Visual Studio
- yss
- 전자서명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