암호화 알고리즘을 다루는 일을 하다보니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 같아 정리를 해본다. 평문 (Plain Text)- 암호화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 해쉬 (hash)- Message Digest (단축, 유일값)- 알고리즘 종류에 따라 결과 값의 길이가 고정이다.- 인풋에 따른 결과값이 고정이다. 동일 인풋이라면 결과는 같다.- 종류 : MD5(16byte), SHA1(20), SHA256(32) 등 대칭 키 블록 암호 알고리즘 (Symmetric Key Block Crypto Algorithm)- 암호화, 복호화 시 사용되는 키가 동일- 암호화 대상이 되는 평문을 블록 사이즈 만큼 잘라 암호화 블록을 연결하여 암호화- 종류 : AES, DES, SEED, ARIA 등 블록 모드 (Block Mode)..
* Cyptographic Hash - Message Digest. - 대표적 암호화 해쉬 알고리즘 : MD5(output 128 bit == 16byte), SHA-1(output 16 bit == 20byte) - 크기와 해쉬 값이 같다면 같은 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 * Encryption & Decryption - 암호화, 복호화 - 무엇을 변경하는 것을 Encryption, 원상태로 복원하는것을 Decryption * Symmetric Key Algorithm - 대칭키 (하나의 키)를 Encryption, Decryption에 사용 - 속도가 빠른편 - 대표적 알고리즘 : 3DES, AES * Asymmetric Key Algorithm - 비대칭키 ( Private Key, Public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full stack
- rxswift
- cipher
- 전자서명
- Universal CRT
- HTTPS
- AES
- Visual Studio
- build set
- 대칭키
- reactivex
- JavaScript
- MEAN stack
- iOS10
- 비대칭키
- 암호화
- ucrtbase.dll
- node js
- TypedArray
- App Transport Security
- execute double click
- ATS
- TLS1.2
- remote debug
- Node.js
- 윈도우 라이브러리
- PCX
- angular
- yss
- executable ja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